StringBuffer 클래스는 스레드에 안전하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여러 개의 스레드에서 하나의 StringBuffer 객체를 처리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StringBuilder는 단일 스레드에서의 안전성만을 보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개의 스레드에서 하나의 StringBuilder 객체를 처리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CharSequence는 인터페이스이다.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로는 CharBuffer, String, StringBuffer, StringBuilder가 있으며 

StringBuffer나 StringBuilder로 생성한 객체를 전달할 때 사용된다.


두 클래스에는 아래 표와 같이 4개의 생성자가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생성자를 선택해 사용하기 바란다.



생성자

 StringBuffer(), StringBuilder()

아무 값도 없는 객체를 생성한다. 기본용량은 16개의 char이다. 

 StringBuffer, StringBuilder

(CharSequence seq)

CharSequence를 매개변수로 받아 그 seq 값을 갖는 객체를 생성 

 StringBuffer, StringBuilder

(capacity)

 capacity에 지정한 만큼의 용량을 갖는 객체를 생성한다.

 StringBuffer, StringBuilder

(String str)

str의 값을 갖는 객체를 생성한다.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check(CharSequence cs) {
		StringBuffer sb = new StringBuffer(cs);
		System.out.println("sb.length() : " + sb.length());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Test");
		check(sb);
	}
}

String의 길이는 정상적으로 처리된다. StringBuffer나 StringBuilder로 값을 만든 후 굳이 toString을 수행하여 필요 없는 객체를 만들어서 넘겨주기 보다는 CharSequence로 받아서 처리하는 것이 메모리 효율에 더 좋다.


[ 출저 ] - 자바 성능 튜닝 이야기 Page 45 - 49


블로그 이미지

행복그리고..

,


클래스 

사용할 상황 

 String

짧은 문자열을 더할 경우 사용한다. 

 StringBuffer

스레드에 안전한 프로그램이 필요할 때나, 개발 중인 시스템의 부분이 스레드에 안전한지 모를 경우 사용하면 좋다. 만약 클래스에 static으로 선언된 문자열을 변경하거나,

singleton으로 선언된 클래스에 문자열일 경우에는 이 클래스를 사용해야만 한다. 

 StringBuilder

스레드에 안전한지의 여부와 전혀 관계 없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사용하면 좋다.

만약 메서드 내에 변수를 선언했다면, 해당 변수는 그 메서드 내에서만 살아 있으므로, 

StringBuilder를 사용하면 된다. 


버전에 따른 차이

JDK 5.0 이상을 사용한다면 결과가 약간 달라진다.

public class Test {
	String str = "Here " + "is " + "a " + "sample.";
	public Test() {
		  int n = 10;
		  String s = "Here " + "is " + n + " samples.";
	}
}

JDK 1.4 사용해서 컴파일 -> JAD로 역 컴파일한 소스

public class Test {
	public Test() {
		str = "Here is a sample.";
		int n = 10;
		String s = "Here " + "is " + n + " samples.";
	}
	String str;
}

역 컴파일한 소스를 보면 자바 컴파일러가 문자열 더한 것을 컴파일할 때 알아서 더해 놓고 있다. 그래도 중간에 int나 다른 객체가 들어가게 되면 위의 예와 같이 그대로 더하도록 되어 있다. 어차피 필요 없는 객체는 생성이 된다는 의미이다.

JDK 5.0

public class Test {
	public Test() {
		str = "Here is a samples.";
		int n = 10;
		String s = (new StringBuilder("Here is "))
				.append(n).append(" samples.").toString();
	}
	String str;
}

문자열을 그냥 더하도록 프로그래밍했다면, 컴파일할 때 위와 같이 변환된다. 개발자의 실수를 어느 정도는 피할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 출저 ] - 자바 성능 튜닝 이야기 Page 49 - 56

블로그 이미지

행복그리고..

,

Thread Safe 클래스

- Vector

- Hashtable


Thread UnSafe 클래스

- HashSet

- TreeSet

- LinkedHashSet

ArrayList

- LinkedList

- HashMap

- TreeMap

- LinkedHashMap


[ 출저 ] - 자바 성능 튜닝 이야기 story04

블로그 이미지

행복그리고..

,






 Collection 인터페이스 구성 

 Collection

 가장 상위 인터페이스이다. 

 Set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집합을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SortedSet

 오름차순을 갖는 Set 인터페이스이다. 

 List

 순서가 있는 집합을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인덱스가 있어 위치를 지정하여 

 값을 찾을 수 있다. 중복을 허용하며, List 인터페이스를 상속받는 클래스 중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ArrayList가 있다.  

 Queue

 여러 개의 객체를 처리하기 전에 담아서 처리할 때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기본적으로 FIFO를 따른다.

 Map

 Map은 키와 값의 쌍으로 구성된 객체의 집합을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 객체는 중복되는 키를 허용하지 않는다.

 SortedMap

 키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Map 인터페이스이다.


Set 인터페이스

- HashSet : 데이터를 해쉬 테이블에 담는 클래스로 순서 없이 저장된다.

- TreeSet : red-black이라는 트리에 데이터를 담는다. 값에 따라서 순서가 정해진다. 데이터를 담으면서 동시에 정렬을하기 때문에 HashSet보다 성능상 느리다.

- LinkedHashSet : 해쉬 테이블에 데이터를 담는데, 저장된 순서에 따라서 순서가 결정된다.


List 인터페이스

- Vector : 객체 생성시에 크기를 지정할 필요가 없는 배열 클래스이다.

- ArrayList : Vector와 비슷하지만, 동기화 처리가 되어 있지 않다.

- LinkedList : ArrayList와 동일하지만, Queue 인터페이스를 구현했기 때문에 FIFO 큐 작업을 수행한다.


Map 인터페이스

- Hashtable : 데이터를 해쉬 테이블에 담는 클래스이다. 내부에서 관리하는 해쉬 테이블 객체가 동기화되어 있으므로, 동기화가 필요한 부분에서는 이 클래스를 사용하기 바란다.

- HashMap : 데이터를 해쉬 테이블에 담는 클래스이다. Hashtable 클래스와 다른 점은 null 값을 허용한다는 것과 동기화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 TreeMap : red-black 트리에 데이터를 담는다. TreeSet과 다른 점은 키에 의해서 순서가 정해진다는 것이다.

- LinkedHashMap : HashMap과 거의 동일하며 이중 연결 리스트(doubly-linkedlist)라는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담는다는 점만 다르다.


Queue 인터페이스

Queu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는 두 가지로 나뉜다. java.util 패키지에 속하는 LinkedList와 PriorityQueue는 일반적인 목적의 큐 클래스이며, java.util.concurrent 패키지에 속하는 클래스들은 컨커런트 큐 클래스이다.


- PriorityQueue : 큐에 추가된 순서와 상관없이 먼저 생성된 객체가 먼저 나오도록 되어 있는 큐다.

- LinkedBlockingQueue : 저장할 데이터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정할 수도 있는 FIFO 기반의 링크 노드를 사용하는 블로킹 큐                                        다.

- ArrayBlockingQueue : 저장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정해져 있는 FIFO 기반의 블로킹 큐다.

- PriorityBlockingQueue : 저장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정해져 있지 않고, 객체의 생성순서에 따라서 순서가 저장되는 블로킹큐다.

- DelayQueue : 큐가 대기하는 시간을 지정하여 처리하도록 되어 있는 큐다.

- SynchronousQueue : put() 메서드를 호출하면, 다른 스레드에서 take() 메서드가 호출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되어 있는 큐다.  이 큐에는 저장되는 데이터가 없다. API에서 제공하는 대부분의 메서드는 0이나 null을 리턴한다.



[ 출저 ] - 자바 성능 튜닝이야기 story04


블로그 이미지

행복그리고..

,

프로그램 종료를 위해 간혹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가 윈도우 이벤트를 기반으로 windowClosing 메소드 내에 다음 문장을 삽입하는 것이다. 

 

System.exit(0)
그런데 이 방법은 하나의 창에 있는 X 버튼만 눌러도 프로그램 전체가 종료되고만다. 즉 X 버튼이 눌리지 않는 GUI창도 함께 소멸되는 것이다. 프로그램 종료를 위해, 윈도우 이벤트 처리를 직접 하지 않고 JFrame에 정의되어 있는 다음 메소드를 호출하는 방법도 있다.

public void setDefaultCloseOperation(int operation)

이 메소드는 X 버튼이 눌렸을 떄의 실행 방식을 결정짓는 메소드이다. 이 메소드의 인자로 전달될 수 있는 값의 종류는 총 네가지인데, 이중에서 두가지 정도만 소개한다. 


* WindowConstants.DISPOSE_ON_CLOSE dispose 메소드 호출과 동일한 효과

import java.awt.event.WindowAdapter;
import java.awt.event.WindowEvent;

import javax.swing.JFrame;

class JFrameWindowClosingEventHandler extends WindowAdapter {
	public void windowClosing(WindowEvent e) {
		JFrame frame = (JFrame)e.getWindow();
		frame.dispose();
		System.out.println("windowClosing()");
	}
}

class JFrameWindow extends JFrame {
	JFrameWindow(String title) {
		super(title);
		this.setSize(300, 200);
		this.setVisible(true);
		this.addWindowListener(new JFrameWindowClosingEventHandler());
	}
}

public class JFrameWindowEvent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JFrameWindow frameWindow = new JFrameWindow("Window");
	}
}

* JFrame.EXIT_ON_CLOSE System.exit 메소드 호출과 동일한 효과

addWindowListener {
    new WindowAdapter() {
        public void windowClosing(WindowEvent e) {
            System.exit(0);
        }
    }
}


블로그 이미지

행복그리고..

,
public class Property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Java 버전 : " + System.getProperty("java.version"));
		System.out.println("Java 공급자 : " + System.getProperty("java.vendor"));
		System.out.println("Java 공급자 주소 : " + System.getProperty("java.vendor.url"));
		System.out.println("Java 설치 디렉토리 : " + System.getProperty("java.home"));
		System.out.println("Java 클래스 버전 : " + System.getProperty("java.class.version"));
		System.out.println("Java 클래스 경로 : " + System.getProperty("java.class.path"));
		System.out.println("확장기능의 클래스 경로 : " + System.getProperty("java.ext.dir"));
		System.out.println("운영체제 이름 : " + System.getProperty("os.name"));
		System.out.println("운영체제 아키텍쳐 : " + System.getProperty("os.arch"));
		System.out.println("운영체제 버전 정보 : " + System.getProperty("os.version"));
		System.out.println("파일 구분 문자 : " + System.getProperty("file.separator"));
		System.out.println("경로 구분 문자 : " + System.getProperty("path.separator"));
		System.out.println("행 구분 문자 : " + System.getProperty("line.separator"));
		System.out.println("사용자 계정 : " + System.getProperty("user.name"));
		System.out.println("사용자 홈 디렉토리 : " + System.getProperty("user.home"));
		System.out.println("현재 디렉토리 : " + System.getProperty("user.dir"));
	}
}

블로그 이미지

행복그리고..

,
public static String[] getLocalFontNameList() {
    return GraphicsEnvironment.getLocalGraphicsEnvironment().getAvailableFontFamilyNames();
}
블로그 이미지

행복그리고..

,

[HTML 문서 안에 직접 작성]

<script type="text⁄javascript">

<⁄script>

[HTML 문서에 JavaScript파일을 삽입]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자바스크립트 파일 주소">

<⁄script>


블로그 이미지

행복그리고..

,

[HTML 문서 안에 직접 작성]

<head>
<style type="text⁄css">

<⁄style>
<⁄head>

[HTML 문서에 CSS파일을 삽입]

<head>
	<link rel="stylesheet" href="CSS 파일 주소">
<⁄head>


블로그 이미지

행복그리고..

,

종료 명령어

"shutdown -h now" 또는 "halt" 또는 "init 0"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shutdown 명령어의 옵션 중에서 "now" 부분에 시간을 지정하면, 지정한 시간에 시스템을 종료한다. 

 # shutdown -h + 10

 10분 후에 종료(h : halt)

 # shutdown -r 22:00 

 오후 10시에 재부팅(r : reboot) 

 # shutdown -c

 예약된 shutdown 취소(c : cancel)

 # shutdown -k no

 현재 접속자에게 종료 메시지만 보내며, 실제로 종료는 안됨 


재부팅 명령어

"shutdown -r now", "reboot", "init 6"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로그아웃 명령어

X 윈도우의 터미널에서 로그아웃 하려면 "logout" 명령어를 사용하면 되며, 텍스트 모드에서 로그아웃하려면 

"logout" 또는 "exit"을 사용하면 된다.


기본 명령어

 ls

도스의 "dir"과 같은 역할로,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나열한다.


# ls :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

# ls /usr/bin : /usr/bin/디렉토리의 목록

# ls -a : 현재 디렉토리의 목록(숨김 파일 포함) 

# ls -l : 현재 디렉토리의 목록을 자세히 보여줌

# ls *.txt : 확장자가  txt인 목록을 보여줌

# ls -l /usr/bin/a* : /usr/bin/ 디렉토리에 있는 목록 중 앞글자가 'a'인 것의 목록자세히 보여줌

 cd

디렉토리를 이동한다.


# cd :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함

# ~root : root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함

# cd .. : 바로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은 현 디렉토리의 부모 디렉토리를 의미함

# cd /usr/bin : '/usr/bin' 디렉토리로 이동함(절대 경로)

# cd ../usr/bin : 상대 경로를 이동함 


'.' - 현재 디렉토리, '..' - 현재의 상위 디렉토리

 pwd

현재 디렉토리의 전체 경로를 출력한다


# pwd :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경로 출력 

rm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해당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삭제 권한이 있어야 한다.


# rm abc.txt : 그냥 삭제(내부적으로 'rm -i'로 연결됨

# rm -i abc.txt : 삭제 시 확인을 물어봄

# rm -r abc : 디렉토리 삭제

# rm -rf abc : abc 디렉토리와 그 하루를 강제로 전부 삭제

cp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한다. 새로 복사한 파일은 사용자의 소유가 된다.


# cp abc.txt cba.txt : abc.txt 파일을 cba.txt 파일로 복사

# cp -r abc cba : 디렉토리 복사 

 touch

크기가 0인 새 파일을 생성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파일인 경우 수정 시간을 변경한다.


# touch abc.txt : 파일이 없을 경우엔 abc.txt라는 빈 파일을 생성하고, abc.txt가 있을 경우에는

파일의 수정 시간을 현재 시각으로 변경함 

 mv

파일과 디렉토리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위치 이동 시 사용한다.


# mv aaa bbb ccc ddd : aaa, bbb, ccc 파일을 ddd 디렉토리로 이동

# mv abc.txt www.txt : 이름 변경 

 mkdir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생성된 디렉토리는 명령어를 수행한 사용자의 소유가 된다.

# mkdir abc : 현재 디렉토리 아래에 abc라는 디렉토리 생성

# mkdir -p def/fgh : 현재 디렉토리 아래에 def 디렉토리 생성하고, 그 안에 fgh 디렉토리 생성 

 rmdir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해당 디렉토리의 삭제 권한이 있어야 하며, 파일이 들어 있으면 안된다.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토리를 삭제하려면 'rm -r'을 사용해야 한다.


# rmdir abc 

 cat

텍스트로 작성된 파일을 화면에 출력한다. 파일의 내용을 간단히 확인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한다.


# cat install.log 

 head, tail

 텍스트로 작성된 파일의 앞 10행 또는 마지막 10행만 출력한다


# head install.log

# tail install.log

 more

텍스트로 작성된 파일을 화면에 페이지 단위로 출력한다. Space는 다음페이지, B는 앞 페이지,  

Q는 종료이다.


# more install.log

# more +100 install.log : 100 행부터 출력해 줌

 less

more와 용도가 비슷하지만 기능이 더 확장된 명령이다. more의 키 및 화살표, 

Page Up, Page Down도 작동한다(vi의 기능이 일부 추가되었다고 생각하면 됨)


# less install.log

# less +100 install.log : 100행부터 출력해 줌

file

File이 어떤 종류의 파일인지를 표시해 준다.


# file install.log

# file /bin/gzip 

 clear

명령창을 깨끗하게 지워준다.

# clear 


사용자와 그룹 명령어

useradd

(또는 

adduser)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해준다. 이 명령을 실행하면 

/etc/passwd, /etc/shadow 및 /etc/group에 새로운 행이 추가된다.


# useradd newuser : newuser라는 이름의 사용자 생성

# useradd -u 555 newuser : newuser를 생성하면서, 사용자ID를 555로 지정

# useradd -g mygroup newuser : newuser를 생성하면서, mygroup이라는 그룹으로 사용자를 포함

# useradd -d /newhome newuser : newuser를 생성하면서, 홈 디렉토리를 /newhome으로 지정

# useradd -s /bin/csh newuser : newuser를 생성하면서, 기본 셸을 /bin/csh로 지정

 passwd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지정하거나 변경한다.


# passwd newuser : newuser의 비밀번호를 지정(또는 변경) 한다. 

usermod 

사용자의 속성을 변경한다. 옵션은 useradd와 동일하다. 


# usermod -g root newuser : newuser의 그룹을 root 그룹으로 변경한다.

 userdel

사용자를 삭제한다.


# userdel newuser : newuser를 삭제한다.

# userdel -r newuser : newuser를 삭제하면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까지 삭제한다. 

 chage

사용자의 암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설정한다.


# chage -l newuser : newuser에 설정된 사항을 확인한다.

# chage -m 2 newuser : newuser가 설정한 암호를 사용해야하는 최소 일자

                                       (즉 변경후 2일은 사용해야함)

# chage -M 30 newuser : newuser가 설정한 암호를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일자

                                        (즉, 변경 후 최대 30일까지 사용 할 수 있음)

# chage -E 2014/12/12 newuser : newuser가 설정한 암호가 만료되는 날짜 

                                                      (즉, 2014/12/12 까지만 사용할 수 있음)

# chage -W 10 newuser : newuser가 설정한 만료되기 전에 경고하는 기간

                               (미지정시 기본값 7일), (즉, 암호가 만료되기 10일 전부터 경고 메시지 나감)

 groups

현재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보여준다.


# groups

 groupadd

새로운 그룹을 생성한다.


# groupadd newgroup : newgroup 그룹을 생성한다.

# groupadd -g 555 newgroup : newgroup을 생성하면서, 그룹ID를 555로 지정한다. 

 groupmod

그룹의 속성을 변경한다.


# groupmod -n newgroup mygroup : newgroup의 이름을 mygroup으로 변경한다.

 groupdel

그룹을 삭제한다.


# groupdel newgroup : newgroup을 삭제한다

                                     (단, 해당 그룹을 주요 그룹으로 지정한 사용자가 없어야 한다. 

 gpasswd

그룹의 암호를 설정하거나, 그룹의 관리를 수행한다.


# gpasswd newgroup : newgroup의 암호를 지정한다.

# gpasswd -A newuser newgroup : newuser를 newgroup의 관리자로 지정한다.

# gpasswd -a user1 newgroup : user1을 newgroup의 사용자로 추가한다.

# gpasswd -d user1 newgroup : user1을 newgroup의 사용자에서 제거한다.


파일 허가권

소유자

그룹

그 외 사용자

r

w

x

w

r

w

4

1

4

2

0

2

0

7

 6

 6


r은 read, w는 write, x는 execute의 약자이다. 

소유자의 허가권인 7이라는 숫자는 2진수 111이므로 'rwx'로 표현 할 수 있고, 읽기, 쓰기, 실행이 가능하다. 

그룹의 경우에는 6이라는 숫자는 2진수 110이므로 'rw-'표현 할 수 있고 읽기, 쓰기만 가능하다. 그 외 사용자도 마찬가지다


파일의 허가권을 변경하는 명령으로는 "chmod" 명령이 있다. 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는 root사용자 또는 해당 파일의 소유자이다.


예를 들어 "# chmod 777 install.log" 명령을 수행하면, install.log 파일은 모든 사용자가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는 파일이 된다.


기타 명령어

who am i : 현재 사용자가 누구인지 알려줌 





[ 출저 ] - 뇌를 자극하는 RedHat Fedora Page 4장

블로그 이미지

행복그리고..

,